텍스트로 점철 된 지난번 포스팅을 보니
참...
역시 블로그는 그림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면서
이번에도 그림 없이 텍스트로만 쓸 예정이니
짧고 간결하게 써 봐야겠다.
QFX 장비를 볼 정도가 될 때면 내가 정리하는 것 정도는 이미 머리에 다 있을테니
EX 장비를 기준으로 아주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
주니퍼는 시코에 비해 매우 간략하고 쉽다.
EX4300 시리즈를 기준으로 보면
EX4300-24T / EX4300-32F / EX4300-48MP
정도로 나누어 보겠는데.
①EX②4300③24④T 로 나누어 볼 수 있다.
①라인업
②모델명
③포트수
④포트형태
①은 지난 포스팅에서 보듯 EX, QFX 등 주니퍼의 라인업을 표시 한다.
②는 각 라인업의 모델들이다.
EX2300, EX3400 등등 역시 지난 포스팅에 라인업은 표기를 해 두었다.
③은 시스코와 마찬가지로 제공하는 포트수를 볼 수 있다.
④에 표시 되는 포트의 형태는
T : UTP
F : Fiber(광)
MP : 2.5G/5G/10G 를 제공하는 모델에 대한 표시로 시스코의 nGig 와 비슷하다.
시스코가 DNA 로 바꾸면서 복잡한 것과 반대로
주니퍼의 라이센스 체계는 아직 간단하다.
물론 JUNOS 라는 주니퍼 제품 전체를 아우르는 자체 OS 를 사용하는데
엔지니어들은 좀 어렵다고는 하는데
내가 컨피그 할건 아니니까....
EX2300 시리즈가 L2 스위치
EX3400 시리즈가 L3 스위치로 대표 되긴 하지만
실제로 주니퍼 스위치는 L2 feature 와 L3 feature 를 나누지는 않는다.
License 에 대한 것은 EFL 과 AFL 로 나누는데
EX2300 에는 EFL 만 적용되기는 한다.


무려 7~8년 전에 총판에서 줬던 자료이긴 한데
지금 현재도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으로 알기 때문에
오랜 자료지만... 그림이 필요해서 뜯어 봤다.
간단히 하면 AFL 은 IS-IS 와 BGP 가 필요한 경우 쓰면되고
OSPF 와 VRRP 정도면 EFL 에서 해결이 가능하다.
아주 기초에 대한 것만 정리가 된 것 같고
그래도 그림을 하나 넣어서 다행인것도 같고
2탄은 이정도로 !
'IT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케이블 종류와 용도 (0) | 2021.05.12 |
---|---|
네트워크 장비 알아보기 3탄 - HPE Aruba (0) | 2021.04.26 |
네트워크 장비 알아보기 2탄 - 주니퍼1 (0) | 2021.04.13 |
네트워크 장비 알아보기 1탄 - 시스코3 (0) | 2021.04.12 |
네트워크 장비 알아보기 1탄 - 시스코2 (2) | 2021.03.30 |
댓글